[QA지식정보]/QA 지식

[지식/경험] 푸시 종류

딩딩QA 2022. 3. 3. 00:1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딩딩입니다.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는 푸시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푸시는 무엇일까?

 

 

푸시가 무엇일까요? (푸시 혹은 푸쉬, 푸시 알림이라고도 합니다.)

Push 단어적으로는 무언가를 밀다. 한국 정보 통신 협회의 정의로는

"스마트폰 푸시 알림 서비스는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이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했을 때 이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리는 기술"이라고 합니다.

 

즉 게임으로 접목하면, 게임을 설치한 유저가 이 푸시 알림을 보고 게임에 대한 특정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또 푸시의 경우 별도의 약관으로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그래서 보통 게임 다운로드전 약관 부분에서 푸시에 대한 권한 요청을 사전 고지하게 되어있습니다.

 

 

 

 

 

 

 

푸시의 구분

 

공통적으로 푸시를 누르면 대부분 해당 게임을 실행 > 접속 시켜주는 역할을 하거나, 별도로 이어진 URL로 연결해 주기도 합니다.

크게 서버 푸시(리모트 푸시, 원격 푸시)와 로컬 푸시로 나누어집니다.

(단말기 내에서도 앱 설정을 통해서 꺼둘 수도 있습니다.)

 

 

1. 서버 푸시

서버는 클라이언트 외에 다른 기기, 또는 콘솔 등에서 발송하는 것을 서버 푸시라고 합니다.

>> 통상 게임의 이벤트, 광고 푸시와 같은 것들입니다. (점검 후에도 별도로 서버푸시를 보내기도 합니다.)

>> 게임 최초 설치 시 약관에서 푸시에 대한 동의를 구합니다.

>> 광고의 경우 (광고)라고 명시가 되어야 합니다.

 

[참고 이미지]

[로드 ** 히*** 서버(광고) 푸시]

 

 

2. 로컬 푸시

로컬 푸시는 클라이언트 내에서 자체적으로 발송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앱 내 기능 구동 시 앱이 내려가 있는 경우 발송되기도 합니다.)

>> 주로 게임 내 유저가 세팅한 결과의 피드백을 받는데 이용됩니다. ex) 제작 콘텐츠에서 완료되면 "제작이 완료되었어요!"와 같은 푸시입니다.

>> 게임 내 옵션이나 설정에서 푸시를 OFF 할 수 있습니다.

 

[참고 이미지]

[타* 앱 로컬 푸시]

 

 

 

 

 

간혹 라이브 게임에서도 TEST로 푸시가 날아오는 참사(?)가 있는데

이는 관련 GM 또는 개발자가 테스트 중 실수로 내보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범위에 따라서는 시말서각..)

[버거킹 테스트 푸시]

 

 

 

 

 

이외에도 한국의 경우 정보통신망 법과 관련해서 푸시는 약관 및 가이드라인에 맞춰서 게임 내에 적용이 되어야 합니다. (야간 푸시 등)

(상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푸시 가이드라인 참고]

https://spam.kisa.or.kr/customer/sub2_R.do?boardNo=128

 

 

 

 

 

 

게임과 푸시 정리

 

 

보통 해당 푸시들은 누르면 인 게임에 접속 시키게 하며, 이는 게임 지표에 영향을 줍니다.

다시 유저를 게임으로 입장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죠.

특정 서버 푸시로 이벤트 시간에 맞춰서 예약하여, 보상을 받도록 유저들을 접속 시키게 하거나(흔히 떡밥을 뿌린다고 표현을 합니다.)

로컬 푸시로 자신이 아이템을 제작했거나, 월드 보스와 같은 특정 시간대 보스를 유저에게 알려주기도 합니다!

 

 

 

 

 

 


주로 푸시를 사용하는 직군은 GM(서비스 PM)이 대부분 진행합니다.

QA의 경우에는 서브미션 진행 시 퍼블리싱 QA 단에서 검증을 진행합니다. (딥링크 및 푸시 테스트)

물론 회사 프로세스마다 다른 경우도 있기에 내용 참고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