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지식정보]/QA 지식

[지식/경험] 호환성 테스트

딩딩QA 2022. 3. 2. 23:11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딩딩입니다~!

 

오늘은 모바일 플랫폼에서 중요한 요소인 호환성 테스트에 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호환성은 비기능 품질 특성 중 하나입니다.)

 

 


 

호환성 테스트란?

 

 

 

호환성이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다른 종류의 컴퓨터나 장치에서도 변경하지 아니하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성질"

 

로 사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임이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잘 작동되는 것을 테스트하는 것이 호환성 테스트입니다.

당연히 모바일 환경에서는 다양한 단말기에서 잘 실행이 되어야 하는 것을 말합니다.

 

 

현재 현존하는 모바일 기기는 너무나도 다양합니다.

대표적인 제조사로도 삼성, LG, 애플, 샤오미, 화웨이, 소니, 구글, HTC 등이 존재하며,

또한 대표적인 모바일 OS로 AOS(안드로이드) / iOS 두 가지가 있습니다.

만들어진 게임이 이러한 다양한 환경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호환성 테스트를 진행하게 됩니다.

 

 

그런데 너무나도 많은 변수와 내용들로 인해서 모든 조건서 테스트를 할 수가 없다 보니,

보통 호환성 테스트를 할 때는 몇 가지를 크게 정해서 검증합니다.

 

 

호환성 체크의 대표적인 기준

 

대표적인 4가지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1. OS

2. RAM

3. CPU

4. GPU

 

 

[OS]

AOS/iOS 모두 다양한 OS 버전이 있습니다.

이 OS 버전에 따라서 앱을 실행할 수 있냐에 대한 내용을 빌드 할 때부터 정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OS 문제로 발생하는 문제들을 사전에 막기 위해서 최소 OS를 정해서 마켓에 등록하게 됩니다!

[최소 OS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아예 앱이 실행되지 않습니다. 또는 마켓에서 아예 노출되지 않습니다.]

 

[RAM]

하단에서 체크 요소를 설명드리겠지만, RAM이 부족한 경우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상황이 크래시입니다.

앱이 멀쩡하게 실행되다가도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메모리가 부족해져서 게임이 튕겨버리는 현상이 발생하곤 합니다.

이 경우 특정 스텝이 아닌 경우에는 보통 RAM 문제로 체크가 됩니다.

 

[CPU]

단말기의 CPU가 게임의 사양에 부족하면 프레임 드롭 현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최저사양 단말기를 선정해서 표시합니다.

 

[GPU]

단말기의 GPU 스펙이 부족하면, 인 게임에 진입을 하더라도 비정상적인 화면을 보게 됩니다.

UI가 깨진다거나, 동영상이 실행되지 않는다거나, 게임의 그래픽이 비정상적으로 노출되게 됩니다. CPU와 마찬가지로

최저사양 단말기를 선정해서 표시합니다.

 

 

 

 

 

대표적인 호환성 문제

 

그리고 호환성 체크 요소로는 대표적으로 6가지가 있습니다.

 

1. 설치 실패

2. 크래시

3. 프레임 드롭

4. 프리징

5. UI 미 노출 및 오 노출

6. 모델링/이미지/영상 문제

+ 발열 체크(발열로 앱 꺼지는 경우가 있음)

 

 

 

 

호환성이 왜 중요할까?

 

 

한국에서는 단말기에 대한 걱정이 사실은 크게 없습니다.

사람들이 보유한 단말기 스펙이 좋다 보니, 웬만한 상황에서의 게임은 거의 문제가 없을 수도 있고요.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호환성 문제들은 발생합니다. 특히 글로벌 런칭인 경우 해외는 저사양 단말기들이 많기도 하죠.

특히 게임 실행하자마자 크래시 나는 문제의 경우, 유저들이 마켓에 별점 테러를 할 수도 있고 부정적인 댓글이나 동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런칭이나 업데이트 전에 꼭! 체크를 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리고 최저사양 단말기를 무엇으로 하냐에 따라 유저풀이 또 달라지기에 많은 고민이 되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매출과 직접적인 요인)

 

그러나 실무자 입장에서는 전체적인 테스트를 할 때 피로감도 크고, 현자 타임이 많이 오는 테스트 중에 하나이기도 하죠..

또한 다른 체크해야할 검증 스펙이 많다 보니, '런칭 후'의 호환성 테스트는 간소화되기도 합니다.

 

(여담으로 N사의 경우에는 호환성 테스트를 외주로 하는 경우도 있다고 루머도 들었기도 합니다.)

 

 

 

 


제가 검증을 했던 테스트 중에는 가장 하기 싫었던 검증이기도 했습니다......

그래도 열심히 다듬고 달려온 게임을 시장에 잘 내놓기 위해서 꼼꼼하게 체크하기도 했고요!

 

QA팀에서는 보통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를 보유하고 있고, 가상의 단말기 테스트 베드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이 가상 테스트 베드 부분은 이후에 또 다뤄보도록 할게요.)

 

 

 

 

 

 

728x90
반응형

'[QA지식정보] > QA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경험] 테스트 환경  (0) 2022.03.02
[지식/경험] 게임업계 직군  (0) 2022.03.02
[지식/경험] 기획 리뷰  (0) 2022.03.02
[지식/경험] 탐색적 테스팅  (2) 2022.03.02
[지식/경험] TC와 CL의 차이점  (0) 2022.03.02